Epson 드라이버 수동 설치 가이드 대표 이미지

Epson 드라이버 수동 설치 가이드 – 자동 설치 실패 시 완벽 해결법

Epson 프린터를 설치할 때, 자동으로 인식되지 않거나 ‘알 수 없는 장치’로 뜨는 경험, 한 번쯤 있으셨죠?
특히 구형 모델이나 USB 연결 방식에서는 드라이버가 자동으로 설치되지 않아 난감한 상황이 자주 발생합니다.

이럴 땐 당황하지 말고, ‘장치 관리자’를 통한 수동 설치 방법으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.
지금부터 가장 안정적이고 정확한 Epson 드라이버 수동 설치 절차를 단계별로 알려드릴게요.

이런 경우, 수동 설치가 필요합니다

  • 자동 설치 실패 (Windows에서 드라이버 자동 검색 불가)

  • 장치 관리자에서 ‘알 수 없는 장치’ 또는 ‘기본 프린터’로 표시됨

  • 드라이버 설치 중 무반응 또는 오류 발생

  • CD 설치 프로그램이 작동하지 않거나 구버전 드라이버 제공

📌 USB로 직접 연결하는 Epson 프린터에서 자주 발생하는 현상입니다.

준비물: 수동 설치 전 사전 준비

  • Epson 공식 사이트에서 해당 모델 드라이버 다운로드

  • 압축 파일(.zip)일 경우 폴더에 압축 해제

  • 프린터 전원 ON + USB로 PC에 연결

  • 관리자 권한이 있는 Windows 계정 사용

🔗 공식 사이트: Epson 드라이버 다운로드 센터 바로 가기

Epson 드라이버 수동 설치 가이드 본문 이미지

수동 설치 절차 – 장치 관리자 활용법

① 장치 관리자 열기

  • Windows 검색창에 장치 관리자 입력 후 실행

  • ‘기타 장치’ 또는 ‘알 수 없는 장치’ 항목 확인

② 드라이버 수동 선택

  • 해당 장치 우클릭 → ‘드라이버 업데이트’ 선택

  • “내 컴퓨터에서 드라이버 찾아보기” 클릭

  • “컴퓨터의 드라이버 목록에서 직접 선택” 클릭

③ INF 파일 수동 지정

  • ‘디스크 있음’ 클릭 → 다운로드한 폴더에서 .inf 파일이 포함된 위치 지정

  • 드라이버 모델 목록에서 Epson 프린터 선택 후 다음 진행

④ 설치 완료 후 상태 확인

  • 설치 완료 메시지 확인

  • ‘장치 및 프린터’ 또는 ‘프린터 및 스캐너’에서 Epson 모델이 정상 등록되었는지 확인

자주 발생하는 문제와 해결 팁

❌ INF 파일이 안 보일 때
.inf 파일이 들어있는 폴더를 정확히 지정했는지 확인 (압축 해제 여부도 중요)

❌ 호환되지 않는 드라이버 오류
→ 운영체제 버전과 드라이버가 일치하지 않으면 설치 불가 → 정확한 OS 선택 후 재다운로드

❌ 설치 후 인쇄가 안 될 때
→ 드라이버는 설치되었지만 포트가 잘못 지정된 경우 → 프린터 속성에서 포트 수동 변경 필요

💬 자주 묻는 질문 (FAQ)

Q1. 장치 관리자에 프린터가 아예 안 떠요.
➡️ 프린터 전원이 켜졌는지, USB 케이블이 제대로 연결되었는지 먼저 확인하세요. 케이블 교체도 고려해보세요.

Q2. INF 파일이 여러 개인데 어떤 걸 선택하나요?
➡️ 폴더 내 .inf 파일 중 Setup Information 형식으로 표시된 파일이면 대부분 선택 가능합니다. 설치 중 해당 모델명을 정확히 확인하세요.

Q3. macOS나 Linux에서도 수동 설치가 되나요?
➡️ 수동 INF 설치 방식은 Windows 전용입니다. macOS는 AirPrint 또는 Epson 제공 패키지를 사용하고, Linux는 별도 리포지터리나 PPD 파일이 필요합니다.

🔚 한 줄 요약

자동 설치가 실패해도 포기하지 마세요! 장치 관리자와 INF 파일만 있다면 Epson 프린터는 언제든 수동으로 설치할 수 있습니다.

Similar Posts